728x90
반응형
“정부가 5년 동안 최대 5천만 원을 만들어준다?”
요즘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청년도약계좌’,
2025년 기준으로 어떻게 바뀌었는지
신청 대상, 소득 조건, 신청 기간, 납입 방식 전부 정리해봤다.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금을 보태주는 청년 전용 적금 계좌다.
- 매월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
- 정부 지원 + 이자 비과세 혜택
- 5년 만기 시 최대 약 5,000만 원 수령 가능
🧑💼 신청 대상 (2025년 기준)
① 나이 요건
- 신청일 기준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단, 병역 이행자는 최대 만 39세까지 가능
② 개인 소득 요건
-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 혹은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③ 가구 소득 요건
- 중위소득 250% 이하
(지원금 규모에 직접 영향)
⏰ 신청 기간
- 가입 신청: 2025년 4월 1일(화) ~ 4월 11일(금)
- 계좌 개설 기간:
- 1인 가구: 4월 17일(목) ~ 5월 9일(금)
- 2인 이상 가구: 4월 28일(월) ~ 5월 9일(금)
첫 주는 5부제 운영
생년 끝자리 신청일
1,6 | 4/1(화) |
2,7 | 4/2(수) |
3,8 | 4/3(목) |
4,9 | 4/4(금) |
5,0 | 4/5(토) |
4월 6일부터는 누구나 신청 가능!
💸 납입 & 혜택
- 월 납입한도: 최대 70만 원
- 계약기간: 5년
- 정부 기여금: 소득 구간에 따라 월 1만~2.4만 원 지급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있음
※ 기본금리는 은행마다 다르며,
최초 3년 고정 + 이후 2년 변동금리 구조
🏦 신청 방법
- 11개 시중은행 앱/영업점 통해 신청 가능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 신청은 ‘자동으로 소득·재산 요건 검토’됨
(청년희망적금처럼 서류 제출 없음)
⚠️ 유의사항
-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 미지급
- 재가입 불가
-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불가
단,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은 이 계좌에 일시 납입 가능
(단, 만기 익월까지 신청해야 인정됨)
💬 정리하자면
항목 내용
신청 기간 | 4월 1일 ~ 4월 11일 |
납입 한도 | 월 최대 70만 원 |
지원 기간 | 5년 |
지원금 | 월 최대 24,000원 (조건 따라 차등 지급) |
혜택 | 정부 기여금 + 이자 비과세 |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는 유용한 제도지만,
매달 70만 원 납입이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청 전에 본인의 납입 여력을 잘 고려해야 한다.
나도 들까 말까 고민 중이긴 하나,
나는 지금 이미 월급에 대한 투자 계획이 정해져 있어 애매하다.
부수입이 70만원 이상 생기면 들고 싶긴 하다 !
특별한 투자 계획이 없거나, 당장에 돈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소득 요건 맞으면 신청해두는 게 유리한 구조라고 본다.
적금보다는 효과가 좋은건 확실하기 때문.
728x90
반응형
'정보 정류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봉? 120일선? 주식 차트 기본 지표, 한 번에 정리 (14) | 2025.04.09 |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 시장의 반응은? (12) | 2025.04.03 |
하락장마다 등장하는 버핏지수, 도대체 뭔데? (3) | 2025.04.01 |
GPT가 지브리풍 그림까지 만들어준다고? 진짜 해봤다 (10) | 2025.03.31 |
2025 전국 벚꽃 개화 시기 & 축제 일정 정리 (조용한 봄맞이용) (5)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