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정류장

2025 청년도약계좌 완전 정리 (대상, 조건, 신청기간, 납입 방식 등)

by 철이로그 2025. 4. 2.
728x90
반응형

“정부가 5년 동안 최대 5천만 원을 만들어준다?”
 
요즘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청년도약계좌’,

2025년 기준으로 어떻게 바뀌었는지
신청 대상, 소득 조건, 신청 기간, 납입 방식 전부 정리해봤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금을 보태주는 청년 전용 적금 계좌다.

  • 매월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
  • 정부 지원 + 이자 비과세 혜택
  • 5년 만기 시 최대 약 5,000만 원 수령 가능

🧑‍💼 신청 대상 (2025년 기준)

① 나이 요건

  • 신청일 기준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단, 병역 이행자는 최대 만 39세까지 가능

② 개인 소득 요건

  •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 혹은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③ 가구 소득 요건

  • 중위소득 250% 이하
    (지원금 규모에 직접 영향)

신청 기간

  • 가입 신청: 2025년 4월 1일(화) ~ 4월 11일(금)
  • 계좌 개설 기간:
    • 1인 가구: 4월 17일(목) ~ 5월 9일(금)
    • 2인 이상 가구: 4월 28일(월) ~ 5월 9일(금)

첫 주는 5부제 운영

생년 끝자리                                                   신청일
1,6 4/1(화)
2,7 4/2(수)
3,8 4/3(목)
4,9 4/4(금)
5,0 4/5(토)

4월 6일부터는 누구나 신청 가능!


💸 납입 & 혜택

  • 월 납입한도: 최대 70만 원
  • 계약기간: 5년
  • 정부 기여금: 소득 구간에 따라 월 1만~2.4만 원 지급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있음

※ 기본금리는 은행마다 다르며,
최초 3년 고정 + 이후 2년 변동금리 구조


🏦 신청 방법

  • 11개 시중은행 앱/영업점 통해 신청 가능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 신청은 ‘자동으로 소득·재산 요건 검토’됨
    (청년희망적금처럼 서류 제출 없음)

⚠️ 유의사항

  •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 미지급
  • 재가입 불가
  •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불가

단,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은 이 계좌에 일시 납입 가능
(단, 만기 익월까지 신청해야 인정됨)

 


💬 정리하자면

항목                                  내용
신청 기간 4월 1일 ~ 4월 11일
납입 한도 월 최대 70만 원
지원 기간 5년
지원금 월 최대 24,000원 (조건 따라 차등 지급)
혜택 정부 기여금 + 이자 비과세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는 유용한 제도지만,

매달 70만 원 납입이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청 전에 본인의 납입 여력을 잘 고려해야 한다.
 
나도 들까 말까 고민 중이긴 하나,
나는 지금 이미 월급에 대한 투자 계획이 정해져 있어 애매하다. 
부수입이 70만원 이상 생기면 들고 싶긴 하다 !
 
특별한 투자 계획이 없거나, 당장에 돈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소득 요건 맞으면 신청해두는 게 유리한 구조라고 본다.
 
적금보다는 효과가 좋은건 확실하기 때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