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일 발표된 관세 부과 정리와 주식시장 영향 및
시장에 주는 영향, 나의 생각 정리"
“트럼프가 관세 카드를 다시 꺼냈다.”
2025년, 트럼프는 다시 미국 대통령에 취임했고,
취임 초부터 강한 무역 보호주의를 밀어붙이고 있다.
그리고 4월 3일(한국 기준),
전 세계 주요국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관세 부과 조치가 공식 발표됐다.
한국은 최악 국가란다 ㅎㅎ;
미국 주식시장은 애프터장에서 -3% 급락.
시장도 즉각 반응하고 있다.
📌 이번 관세 발표, 핵심 정리
중국 | 34% |
베트남 | 46% |
유럽연합(EU) | 20% |
일본 | 24% |
외국산 자동차 | 25% |
모든 수입품 기본 관세 | 최소 10% 이상 |
트럼프는 이날을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명명하며
“미국 기업을 다시 지키겠다”고 발표했다.
사실상 대부분의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한 초강수다.
📉 시장 반응은?
- 다우존스 선물: -2.05%
- S&P 500 선물: -3.1%
- 나스닥 100 선물: -3.8%
주요 기술주들—애플, 엔비디아, 테슬라—도 애프터장에서 하락.
특히 애플은 중국산 부품 의존도가 높아 타격 우려가 크다.
💡 시장에 주는 시사점은?
이번 발표는 단순한 ‘정치 발언’이 아니라
시장 구조와 기업 수익성에 직접 영향 줄 수 있는 실질적 정책 변화다.
① 공급망 불안정성 확대
- 글로벌 기업들의 생산 및 유통 비용 증가
-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능성 제기
- 특히 기술, 자동차, 반도체 섹터는 즉각 영향권
② 기업 실적 악화 압력
- 관세 → 원가 상승 → 이익률 하락
- 주가 상승 기반이 ‘실적’이라면, 중장기 리스크 요인
③ 인플레이션 재압력
- 수입품 가격 인상 → 소비자 물가 자극
-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브레이크’ 걸릴 수 있음
④ 수급 악화 → 시장 변동성 증가
- 외국인 매도 확대 가능성
- ETF/패시브 자금 리밸런싱 우려 → 변동성 확대 구간 진입
🧭 나는 이렇게 본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방향성은 명확하다.
자국 보호, 수입 억제, 제조업 강화.
이번 관세 발표는 단순한 이벤트가 아니라
앞으로 더 강력한 정책이 이어질 수 있다는 시그널일 수도 있지 않을까 ?
하지만 시장은 항상 변화와 이슈가 있고,
또 언제 그랬듯 적응한다.
긍정적으로 보면, 2018~19 무역전쟁 때처럼
일시적 하락 뒤 회복 흐름도 충분히 나올 수 있다.
투자 경력이 길지는 않지만,
짧았던 과거 사례들을 복기하면,
“예상된 악재는 오히려 기회일 수 있다.”
4/3 오전 11시 기준,
애프터장에서 훌쩍 떨어진 주가는 회복중에 있다..
오히려 최근 불확실성에 대한 해소 시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다만 한국 시장은 여러모로 어렵다ㅎㅎ;
1) 탄핵 선고 리스크
2) 공매도 전면 재개
'정보 정류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포지수 VIX? 도대체 VIX가 뭘까? - VIX 급등 이유 (7) | 2025.04.11 |
---|---|
주봉? 120일선? 주식 차트 기본 지표, 한 번에 정리 (14) | 2025.04.09 |
2025 청년도약계좌 완전 정리 (대상, 조건, 신청기간, 납입 방식 등) (9) | 2025.04.02 |
하락장마다 등장하는 버핏지수, 도대체 뭔데? (3) | 2025.04.01 |
GPT가 지브리풍 그림까지 만들어준다고? 진짜 해봤다 (10) | 2025.03.31 |